들어가기 전 21년 말, react-router-dom을 사용할 땐 v6.3이었다. 현재는 메이저 버전은 동일하지만 v6.4를 기점으로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의 사진에서 보는 것과 같이 React Router 공식 문서에서도 v6.4에 대해 무엇이 새로운지 소개하고 있다. React Router 공홈 바로가기 현재 react-router-dom의 최신 버전은 v6.11.1이다. 얼마나 자주 업데이트 되는지 궁금해서 Version History를 찾아봤는데, v6.11.1은 현재기준(23년 5월 16일) 12일 전에 공개가 되었다. 그리고 v6.4.0은 8개월 전인 22년 9월에 공개되었다. 꾸준히 기능이 업데이트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더 재밌는 점은 이전의 v5의..
라이브러리 없이 자바스크립트로 달력 만들기는 우테코 '하루스터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직접 만든 달력을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다시 구현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하루스터디' 프로젝트에서는 리액트로 달력을 구현했지만 이번에는 바닐라 자바스크립트에서 구현을 합니다. 리액트도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이므로 리액트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환경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하루스터디' 프로젝트에서 달력 구현과 관련된 PR입니다. [FE] member record Calendar 기능 추가 by nlom0218 · Pull Request #613 · woowacourse-teams/2023-haru-study 관련 이슈 closed #602 구현 기능 및 변경 사항 사용자 기록 페이지에 달력 기능..
이전 글에서 달력을 만들기 위한 데이터를 만들었습니다. 이번에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두 가지 종류의 달력을 만들어 봅니다. 하나는 Schedule입니다. Schedule은 달력에서 특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달력에 해당합니다. 1. 구글 캘린더(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2. 가계부(지출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위 달력은 모두 특정 데이터를 담은 달력입니다. 또 다른 달력은 Date Picker입니다. 이름 그대로 날짜를 선택할 수 있는 달력입니다. 이는 html의 input 태그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는데, 커스튬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UI를 만들기 위해선 처음부터 스스로 만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번 챕터에는 코드량이 많아 세세한 코드에 대한 설명은 하지 ..
1. 개요 우테코 5기의 서류 지원 일정은 10월 17일 오후 3시부터 일주일 후인 24일 오전 10시까지이다. 현재(24일 20시) 기준으로 서류 지원이 끝난 상태이다. 마무리한 상황에서 우테코 5기의 서류 지원은 어땠는지 간단하게 글로 남긴다. 2. 미리 생각해 볼 질문들 우테코 홈 페이지의 지원하기 파트에 미리 생각해 볼 질문들이 올라와져 있다. 총 4가지의 질문이고 이 그대로 서류 지원의 질문으로 나왔다. 그래서 미리 생각했던 내용을 차근히 정리할 수 있었다. 미리 생각해 볼 질문들 프로그래밍의 학습 과정은? 프로그래머가 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마음이 끌리는 무엇인가에 긴 시간 동안 몰입해 본 경험이 있나요? 우아한테크코스에 참여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3. 나의 작성 내용 3-1. 고등학교..
새로운 버전의 티처캔에서 타이머를 구현하게 되었다. 이전 버전에서도 타이머를 구현했기에 큰 어려움은 없었으나 이전 버전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한 문제와 타이머 폰트 크기에 대한 문제가 생겨 이에 대해 기록을 남기고자 한다. 1. 백그라운드에서의 타이머 첫 번재 문제는 '백그라운드에서의 타이머'라고 할 수 있다. 타이머가 실행 중인 탭이 아닌 다른 탭으로 이동되었을 때(탭이 비활성화되었을 때), 타이머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 'setInterval'함수는 백그라운드의 탭의 자원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setInterval'의 콜백 함수의 호출 시간이 지정된 시간보다 늦어질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1000ms 마다 콜백 함수를 호출하는 것을 원했으나 그보다 더 긴 시간인 2000ms마다 호출되는 것이..
지금까지 하나의 파일(webpack.config.js)에서 환경(dev, prod)에 대한 웹팩을 설정하였다. 환경에 따른 분리가 필요하면 삼항연사자를 사용한다. 아직은 파일이 크지 않아 삼항연산자도 충분하다. 하지만 앞으로 설정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면 삼항연산자로 인한 환경 구분은 상당히 피로감을 줄 수 있다. 때문에 환경에 따라 파일을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웹팩으로 리액트 시작하기 네 번째 파트에서는 환경에 분리하여 웹팩을 설정하는 과정을 다룬다. 다음의 글은 웹팩 공식문서를 참고하여 작성했다. Production | 웹팩 Production | 웹팩 웹팩은 모듈 번들러입니다. 주요 목적은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JavaScript 파일을 번들로 묶는 것이지만, 리소스나 애셋을 변환하고 번..
이전 챕터에서 shift Month Button를 통해 이전과 다음 달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경우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이 2023년 10월 31일인데 2020년 10월의 달력을 보고 싶다. 버튼을 36번 클릭하여 3년 전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너무나 많은 버튼 클릭입니다. 사용성도 많이 떨어집니다. 사용자는 간단하게 자신이 원하는 년(year), 월(month)로 이동하는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이를 이번 챕터에서 Navigation 기능을 추가하면서 해결합니다. 1. Calendar class에 기능 추가하기 이전 챕터에서는 shiftMonth 메서드를 추가하여 월(month)을 이동할 수 있게 했습니다. 하지만 매개변수로 next, prev, today를 받기 때..
이전 챕터에서 Schedule, Date Picker을 만들었지만 월(month)을 이동할 수 없어 이전, 다음 달을 볼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이를 개선하고자 Shift Month Button을 만들어보겠습니다. 1. Calendar class에 기능 추가하기 Calendar class의 private filed을 보면 #year, #month가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년, 월에 해당하는 날에 대한 데이터를 getCalendarStorage() 메서드에서 만들고 있습니다. 때문에 월(month)을 이동하기 위해선 #month 값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된 로직을 Calendar class에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 Calendar.ts shiftMonth =..
웹팩으로 리액트 시작하기의 두 번째 파트에서는 eslint, tsconfig, webpack, 설정을 통해 절대 경로를 적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1. eslint 설정 eslint 을 아직 설치를 하지 않았으니 이를 먼저 설치한다. 또한 import에 관한 플러그인을 함께 설치한다. yarn add -D eslint eslint-plugin-import 이후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eslint설정 파일을 생성한다.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각자가 원하는 eslint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의 플러그인이 생성되고 eslint설정 파일이 루트경로에 생성된다. npx eslint --init 이제 생성된 eslint 설정 파일에서 다음과 같은 설정을 추가한다. import 플러그인 추가 ..
리액트를 시작하기 위해 Create-React-App(CRA) 혹은 Vite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도구는 webpack설정 없이 편하게 리액트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도구이다. 하지만 단점도 분명 존재한다. webpack설정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webpack설정을 도와주는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등장하였다. craco, react-app-alias, react-app-rewired 등이 그것이다. 충분히 좋은 라이브러리들이지만 처음부터 webpack을 직접 설정을 했다면 번거로운 작업은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webpack은 학습해야 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직접 webpack을 설정하여 ..